본문 바로가기
  • 프론트엔드 개발자 세오세오 | Frontend dev Seo
Psychology

12. 본질주의 (Essentialism)

by CEOSEO 2020. 11. 23.
728x90
반응형

본질주의(essentialism)의 근원은 고대 그리스의 철학에서부터도 발견된다. 본질주의란 이 세상의 모든 개체(entity)가 그 개체로 구분되어지기 위한, 즉, 그 개체로 불릴 수 있게 하는 특정 속성들이 있다고 보는 시선이다. 모든 것들은 아이디어나 형태와 같은 그것들만의 "본질"이 있다고한 플라토의 이상주의가 이러한 시선의 예시 중 하나이다.

 

심리학에서의 본질주의는 여러 사회적 방면에 의의를 가질 수 있다. 특정 인종, 국적, 문화권, 종교 등에 대한 본질주의적 시선은 선입견으로 이어지고, 이는 특정 사회적 집단에 대한 배제를 종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 블로그에서 주요 심리학 개념들을 살펴보는 이유는 이런 개념들이 있다는 것을 대충 아는 것만으로도 살아가는데 여러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The System이라는 책에서 저자 Scott Adams는 성공이란 준비된 상태에서 운이 더해졌을 때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체계적인 준비로 그 운을 맞을 확률을 높여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p.183).

 

그 체계적인 준비 중 하나가 여러 기술들을 습득하는 것이었는데, 그 중 하나가 심리학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였다. 즉, 지금 이 블로그에 하나하나 내가 보기 위해서 적어가고 있는 심리학 개념들은 심리학이라는 것에 학문적으로 접근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일상을 살아가면서 세상을 보는 시선에 도움을 받기 위한 목적을 갖고 있다고 보는 것이 옳다. 

 

그렇기 때문에 저자가 책에 적은 여러 심리학 개념들 중 '본질주의'를 보았을 때 이게 왜 이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을까 고민해보았다. 왜냐면 본질주의는 심리학 개념이라기보단 철학적 아이디어에 가깝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먼저 들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본질주의에 대해 찾아보면서 더 읽어보니 이게 그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던 이유를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었다. 아마 본인 스스로도 모르게 본질주의에 근거하여 선입견에 빠진 뒤 삐뚤어진 시선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것을 경계하라는 의미가 아니었을까? 동시에, 개인적으로 누군가가, 또는 사회적 현상에서 큰 단체 또는 집단이 논리적이나 이성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주장을 하고 나설 때 그들의 심리적 기저에 깔린 것이 본질주의 일수도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다면 이 세상이 이해하기 어렵고 불합리한 사람들로만 꽉 차 있다고 부정적으로 보게 되는 시선으로부터 자유로워질 수도 있을 것 이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