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클러스터 착각(Cluster illsuion)은 인지적 편향(cognitive bias)의 한 종류로, 랜덤하게 발생한 현상을 우연이 아니라 패턴이 있다고 인식하게 되는 경향을 뜻한다. 이러한 착각의 원인은 랜덤한 데이터의 작은 샘플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변동성의 정도를 낮춰서 예상하려는 심리적 경향으로부터 발생한다.
일상의 예시로는 기존 로또 당첨 번호의 기록들을 기반으로 다음 회차의 당첨 번호를 분석하려는 노력을 들 수 있다. 기존 회차에 나왔던 번호들은 우연하게 발생한 현상들이고 다음 회차에 뽑힐 번호들과는 전혀 연관이 없음에도 그 우연 속에서 패턴을 인식하려고 하는 인지적 편향이 바로 클러스터 착각인 것이다.
클러스터 착각과 비슷한 개념으로 "hot hand fallacy"(핫핸드 오류)라는 것이 있다. 이는 어떤 일에서 한번 성공한 사람이 다음번 일을 도모할 때에도 성공할 것이라고 보는 편향을 뜻한다. 한국어 표현에도 "손 대는 일마다 잘 된다"라고 간혹 말을 하는데, 그와 비슷하게 아주 '핫'한 손이여서 저번 일도 잘됬으니 이번 일도 잘할 것이라는 식의 의견이 성립된다는 것이다. 이 표현은 원래 이전 슛에서 성공적이었던, 즉 핫 핸드가 있었던 선수가 더 점수를 잘 낼 것이라고 표현하고 했던 농구 게임에서 유례한 것이며, 주로 스포츠나 기술 기반의 업무에 있어서 사용되는 개념이다.
728x90
반응형
'Psychology'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 본질주의 (Essentialism) (0) | 2020.11.23 |
---|---|
11. 공감 간극 효과 (Empathy gap) (0) | 2020.11.17 |
9. 기저율의 오류 (Base rate fallacy) (0) | 2020.11.16 |
8. 소유 효과 (Endowment effect) (0) | 2020.11.16 |
7. 신념 편향 (Belief bias) (0) | 2020.11.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