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프론트엔드 개발자 세오세오 | Frontend dev Seo
Psychology

9. 기저율의 오류 (Base rate fallacy)

by CEOSEO 2020. 11. 16.
728x90
반응형

 

 

확률/통계학에서 기저율(base rate)이란 어떤 요소의 빈도가 그 요소가 속한 전체에서 차지하는 기본 비율을 뜻한다. 그래서, 기저율의 오류(Base rate fallacy) 또는 기저율의 무시(base rate neglect)란 특정 사건 등의 빈도에 대한 기저율 정보(즉, 객관적인 정보)와 특정 사례에만 국한된 정보가 주어졌을 때(주관적이거나 일반화시키기 어려운 정보), 기저율을 무시하고 특정 사례의 경우를 믿게 되는 경향을 뜻한다. 일상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기저율의 오류의 예시는 누군가의 취미나 성향이 이러이러하다, 할 때 그 사람의 직업이나 전공의 추론에 있어서 그 직업/전공의 선입견에 대입시켜 생각하는 때에 발생한다. 

 

심리학자 Daniel Kahneman과 Amos Tversky의 실험에서 참가자들에게 Tom W.라는 가상의 인물의 성격에 대한 정보가 주어졌다. 실험 참가자들은 Tom의 성격에 대한 정보를 읽고, 그의 전공이 무엇일지 9개의 분야 중에서 선택하라는 지시를 받았다. 놀랍게도, 95%의 참가자들은 Tom이 컴퓨터공학을 전공할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이들의 예상은 Tom의 성격을 묘사한 글 - 개별적인 한 인간의 사례 - 에만 기반한 것이었으며, 기저율 정보와는 단 하나도 연관된 것이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95%가 동일한 응답을 내놓았고, 이는 기저율의 오류/무시의 한 예이다.

728x90
반응형

댓글